스페셜톡
달빛이 흐르는 호수의 피아노, 베토벤 ‘월광’
2022.09.15

우리는 음식 하나를 고를 때에도 많은 사람들의 평가를 기준으로 삼곤 합니다. 영화나 소설 등 예술작품을 선택할 때도 마찬가지죠. 나의 취향보다는 유명한 평론가가 추천하는 작품을 선택하곤 하니까요. 그런데 반대로 창작물을 내놓는 예술가에게 평론가는, 상생의 인연이기도 하지만 경계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Georg Strauss, 1864-1949)는 교향시 ‘영웅의 생애(Ein Heldenleben, op.40’를 통해 평론가들을 적으로 묘사했습니다. 적들은 아주 수다스럽고, 의뭉스럽게 표현됩니다. 핀란드의 작곡가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는 ‘세상에 비평가를 위해 세운 동상은 없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쇤베르크(Arnold Schonberg, 1874-1951)도 당시 평론가들과 대중들에게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그의 12음기법은 현대음악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세계 음악사에서 손꼽히는 존재로서 칭송받는 작곡가 중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1770~1827)이 있는데요. 그의 3대 소나타 중 하나인 ‘월광’ 소나타(Sonate für Klavier No. 14 `Mondschein` Op. 27-2)는 1악장 단조의 서정적인 선율이 인상적인 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죠.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1770~1827)

독일의 평론가 렐슈타프(Ludwig Rellstab, 1799-1860)는 이 곡을 듣고 ‘스위스 루체른 호수 위에 달빛이 비치고, 그 위에 조각배가 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베토벤 사후 5년에 나온 평인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작품을 ‘월광’ 소나타로 부르고 있습니다.


스위스 루체른 호수 위의 달빛과 조각배

베토벤은 이 곡을 1801년에 작곡했습니다. 당시는 베토벤이 귀가 점점 안 들리게 되는 것에 대해 절망감을 느끼고 있을 때였습니다. 의사에게서 청각을 잃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까지 들었었죠. 게다가 베토벤은 그 해에 연인 줄리에타 귀차르디(Giulietta Guicciardi, 1782-1856)와 결혼하려고 했지만 집안의 반대에 부딪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요. 바로 그 시기에 ‘월광’이 작곡되었으니, 이 곡이 어둡고 우울할 수 밖에 없다는 건 너무나 당연합니다. 결국 결혼에 실패했고 베토벤은 깊은 좌절에 빠졌다고 전해집니다. 그럼에도 이 곡은 그녀에게 헌정되어 사랑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연이 깃들어서인지 ‘월광’ 소나타에는 좌절과 희망, 현실과 환상의 양극단이 모두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베토벤은 이 곡에 제목을 지어 두지는 않았지만, ‘환상곡 풍으로(Quasi una fantasia)’ 연주하라는 지시어를 써 놓았습니다. 특히 1악장은 어두우면서도 불안감이 감돌지만, 그 속에 한 줄기 빛이 섞인 듯한 기분이드는데요. 그 느낌이 바로 평론가 렐슈타프가 말했던 ‘달빛’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편 ‘월광’은 1악장 뿐 아니라 3악장도 유명한데요.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로 차분한 1악장과는 달리 3악장은 프레스토 아지타토(Presto agitato)의 빠르고 격렬한 분위기로 완벽한 대조를 이룹니다. 다만 올림다단조(C#minor)의 같은 조성으로 일관성을 유지할 뿐이죠. 덕분에 드라마틱한 구성의 소나타가 만들어졌습니다.


베토벤 피아노 `월광` 소타나 1악장과 3악장 (Piano Sonata No. 14 in c♯ minor, Op. 27-2, `Moonlight`

이렇게 자신의 음악이 평론가에 의해 제목이 붙여지고, 대중이 이 곡에서 달빛을 상상하게 될 줄은, 베토벤도 몰랐을 것입니다. 어쩌면 ‘월광’이라는 제목은 베토벤의 의도와 전혀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 곡을 ‘월광’으로 기억하고 상상하며 느낀다는 것이 중요하겠죠. 아마도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14번은 영원히 ‘월광’으로 남게 될 것입니다. 예술가와 평론가와 대중 즉 ‘우리’ 사이에 이루어진 공감대가 마침내 불멸의 작품을 탄생시킨 것입니다.

관련악보
앨범커버
월광 SONATE 2악장
베토벤
L.V.Beethoven
B
P
M
S
O
C
MR
앨범커버
월광 SONATE 3악장
베토벤
L.V.Beethoven
B
P
M
S
O
C
MR
앨범커버
월광 SONATE 1악장
베토벤
L.V.Beethoven
B
P
M
S
O
C
MR
최신 스페셜톡
Guns N’ Roses – Sweet Child O’ Mine(1987)
용어 수정부터 한다. 1980년대 많은 인기를 모았던 메탈 장르들 중 LA 메탈이라는 게 있다. 아니, 사실은 없다. LA 메탈이라는 건 없다. 완전 없다. 본토인 영미권 음악계에서는 전혀 쓰지 않는 표현이다. 우리
The Cranberries ‘Zombie’(1994)
우리는 착각을 하고 산다. 예를 들어 팝이라고 하면 영국과 미국인은 가사 다 이해하고, 그것에 맞는 TPO(Time, Place, Occasion) 정도야 철저하게 지키면서 감상하거나, 따라 부를 거라고 지레짐작한다
Green Day ‘Last Night on Earth’ (2009)
예상치 못한 곡이 뜰 때가 있다. 속칭 ‘미는 싱글’이 아닌데도 서서히 입소문을 타고 간판 싱글보다 되려 큰 인기를 얻는 경우, 대중음악의 역사를 살펴보면 적지 않다. 더 나아가 저 위대한 레드 제플린(Led Z